[정리]건물과 겹쳐 지나는 길(통로)에 대하여(Paths that overlap with buildings)

'건물을 거쳐 이어지는 길’에 대한 지난 글을 쓰다가 그런 갈래의 길에 대해 정리를 해 봤습니다.
혹 모자라거나 좀 다른 의견을 달아주시면 서로 공부가 될 듯 합니다.

OSM에서 ‘건물’은 마침내는 건물을 이루는 구성 요소의 가장 바깥선으로 그려집니다.
그렇다 보니 건물과 겹쳐지게 길이 그려지는 경우가 꽤 있는데 이것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물론 건물을 꼼꼼하게 그리자고 하면 건물 본체와 건물 곁부분을 따로 그려도 됩니다만, 어쨋거나 OSM에서는 건물의 가장 바깥선을 건물 선으로 봅니다.)
여기서는 그 가운에서도 건물 기둥 안으로 길이 지나가는 경우를 주로 살펴 보겠습니다.(다만, 여기에 나오는 낱말이름들은 우리가 흔히 아는 것과는 사뭇 다른 뜻인 경우가 많습니다. 보기를 들어 우리가 흔히 상점가를 일컬어 말할 때 쓰는 ‘아케이드’ 같은 경우입니다.)

highway=corridor(복도)

건물 안에 건물의 일부로써 길이 지나가는 경우입니다.
건물의 일부로써 길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길은 건물에서 중요한 요소이기도 합니다.
현대에서 자주 보는 상점가나 지하철 역 복도처럼 길이 그 건물의 쓰임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tunnel=building_passage(파사쥬)

건물 속을 통과하지만 그 길(경로)이 건물의 쓰임새에 그리 중요하지 않습니다.
가끔은 파사쥬에서 건물로 이어지는 길이 있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파사쥬는 그냥 건물 아래를 지나갈 뿐입니다.
얼핏 ‘파사쥬’와 비슷해 보이는 것으로 ‘gatehouse’와 ‘arcade’ 혹은 ‘colonnade’가 있습니다.

building=gatehouse(문루, 관문)

길이 건물 아래를 지나가기는 하지만 ‘gatehouse’는 애초에 그 길을 전제로(종속적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파사쥬’와 다릅니다.(‘gatehouse’의 자세한 개념은 위키문서를 보시기 바랍니다.)

historic=city_gate(성문)

문루(gatehouse)지만 성벽과 함께 기능하거나 했었던 성문에는 이 키를 쓸 수 있습니다.(숭례문, 흥인지문 등)

그 밖에, 건물 부분을 지나는 길의 하위 속성으로 아래 키를 쓸 수도 있습니다.

covered=arcade, covered=colonnade

‘coverd=*’는 건물 혹은 건물의 일부분 아래를 지나가기는 하지만 완전히 건물 안을 지나는 것은 아니고 건물 선 안이면서 적어도 한 쪽이 밖으로 드러나 지나가는 길일 때 쓸 수 있습니다.
arcade, colonnade 부분은 (적어도 한 쪽이)밖으로 드러나 있으며 그 길이 건물의 쓰임새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도 않습니다.
요즘은 우리나라에서 꽤 있는 ‘필로티 구조 건물’(건물 아래 부분이 내력벽은 없이 기둥 만으로 지탱하는 건물) 아래를 지나가는 길에는 이 키를 쓸 수 있습니다.
실생활에서는 통로 옆으로 상점이 늘어선 곳(상점거리)을 흔히 ‘아케이드’라 하지만 OSM에서는 개념이 다릅니다.
덧붙여, (OSM 위키에서는)’열주’(colonnade)는 한쪽 혹은 양쪽이 기둥으로 되어 있는 부분이고, ‘아케이드’(arcade)는 한쪽 혹은 양쪽이 기둥이면서 아치형으로 꾸며진 구조로 구분하고 있으며, 단순한 건물 돌출부(건물 입구의 들머리처마 같은)에는 쓰지 말라고 하고 있습니다.

building=roof(지붕)

OSM에서는 ‘적어도 두 방향이 열려있는 지붕’일 때 쓰라고 되어 있습니다.
보기를 들어, 건물 들머리에 있는 들머리처마(porch)의 경우에는 (건물의 일부분으로써)’지붕’으로 볼 수 있지만 그 위쪽이 건물의 일부로 다른 것으로 쓰이면 covered=arcade나 covered=colonnade 일 수 있으며, 간이 시설물에 가까울 경우에는 man_made=canopy를 쓸 수도 있습니다.
‘building=roof’와 비슷한 것으로 햇볕이나 비를 피할 쓰임새로 건물 들머리에만 씌운 것은 ‘building=porch’(들머리처마) 혹은 ‘building:part=porch’를 쓸 수도 있습니다.

기둥 바깥 건물 아래로 지나가는 길

그 밖에 한옥을 그리다보면 자주 보게 되는 경우인데, 건물 지붕 아래가 길로 쓰여서 길이 건물의 일부분인 지붕 아래로 지나가는 경우에는 그냥 ‘레이어’(layer)로 해결하는 것이 좋겠습니다.(어차피 길이 건물의 기둥 안으로 지나가는 것도 아니므로…)

혹 저와 다르게 해석하시거나 생각이 다른 분은 알려주시면 서로 공부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