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향교’(건물과 지역 그리고 부속 시설)의 속성에 대한 의제를 내놓아 봅니다.
향교 건물이나 부속 시설 뿐만 아니라 비슷한 다른 시설에 대해서 까지 서로 비교를 하면서 고찰해 보았으면 합니다.
‘향교’ 건물에 어떤 속성을 주어야 하는가?
‘향교’ 부지에는 어떤 속성을 주어야 하는가?
‘향교’ 부속시설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떤 속성을 주어야 하는가?
'향교’와 견줄 수 있는 다른 시설에는 어떤 것들이 있고 어떤 속성을 주는가? 등등입니다.
단지 '향교’에 어떤 속성을 주는가라는 데서 좀 벗어나서 향교의 속성에 대해, 어떤 기준과 어떤 근거로 그러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그리고 향교에 견줄 수 있는 다른 지물에 대해서도 살펴 봄으로써 다른 지물의 속성을 주는 것에서도 어느 정도 이정표가 되어 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의제를 내는 입장으로서 제 생각부터 말하면 의제 방향이 쏠릴 수도 있다고 생각해서 먼저 다른 분의 의견을 좀 듣고 나서 제 생각도 덧붙이고자 합니다.
물론 위 의제는 토론을 위한 밑밥(? ^^;)일 뿐이고, 큰 의제 안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주고 받으면 좋겠습니다.
먼저, 토론을 함에 있어 이런 깔끔한 정리를 보면 참 기분이 좋습니다.
이해하기도 쉽고 무슨 말을 덧붙이기에도 깔끔하고… ^^
그래서 이렇게 정리해 주신 것에 고맙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제 나름의 생각도 한번 적어 보겠습니다.
먼저, '향교’를 지금에 있어서도 과연 교육기관(office=educational_institution)으로 보아야 하는지 하는 것입니다.
분명 향교는 옛날 관급 교육기관이 맞습니다만, 지금은 교육기관의 역할은 전혀 없으며 요즘으로 치자면 오히려 ‘사당’(shrine)의 구실이 크다고 봅니다.
물론 지금도 일부 (사설)교육기관의 역할을 하는 곳도 있으나 여러가지 속성을 가진 지물에서는 주로 주된 구실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봅니다.(그런 점에서 가끔 이런 역사유적지에 ‘attraction’ 속성을 주는 분도 계시던데, 이것도 좀 안맞다는 생각입니다.)
‘office=educational_institution’ 키의 쓰임새로 봐서도 향교에 이 속성을 주는 것은 좀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입니다.
저도 향교를 편집해 본 적이 있지만 부속건물을 이렇게 세분해서 속성을 줄 생각은 못 했네요. ^^;
굳이 퉁치지 않고 세분화한다면 (부속건물에 관해서는)참 괜찮은 정리인 것 같습니다.
또 한 가지 좀 살펴봐야 하는 것이, 사실 우리가 '유교’라고 부르는 유학(성리학)은 종교와는 사뭇 다르지만 이상하게 우리나라에서는 가끔 종교의 한 갈래로 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유교’를 섬기는 '향교’는 마치 절이나 교회, 사원처럼 ‘종교시설’(amenity=place_of_worship)로 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건물은 '사당’이나 ‘성전’(building=shrine)이 알맞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