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OSM에서 ‘길'(Key:highway) 가운데 '주요도로' 갈래지어 보기(새 글)

:memo: 본디 글은 'OSM에서 ‘길’(Key:highway) 가운데 ‘주요도로’ 갈래지어 보기 입니다. 본디 글이 나중에 더 다음어 졌을 수도 있습니다.(2023년 5월 2일 마지막 고침)

OSM 위키문서에서 ‘’ 갈래 가운데 주요길 갈래에는 motorway, trunk, primary, secondary, tertiary, unclassified, residential 같은 여러 값이 있습니다.(unclassified는 한국에는 해당하지 않음)
이 가운데 'motorway’는 ‘고속도로’, 'trunk’는 '고속화도로’로 또렷하게 갈래지을 수 있겠습니다.('고속화도로’는 주요도로 가운데 계층적 성격에서는 살짤 벗어나기는 하지만 그 특성이 또렷하고 독립적이기에 계층적 갈래에 넣어도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나머지는 우리나라 실정에서 갈래짓는 기준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볼 수 있어 꼭맞게 떨어지도록 갈래짓기는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한국의 실정에만 맞게 새로 키 값을 만들기도 그렇고, 이왕이면 있는 공통 키 값에 가장 비슷하게 맞물리게 하고자, 여러 길의 속성들을 살펴 볼까 합니다.

먼저, 우리나라 길[도로] 체계부터 알아야 할텐데, ‘관리 주체에 따라’, ‘기능에 따라’ 혹은 '사용형태나 규모에 따라, 여러가지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도로법”에 따르면 관리 주체에 따르면,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노선은 공기업 한국도로공사가 국토교통부로부터 위탁받아 건설, 유지 및 관리를 하고 있는 ‘고속국도’(고속도로), 각 지방자치단체에 있는 지방국토관리청에서 관리하는 ‘일반 국도’, 특별시장·광역시장이 관리하는 ‘특별시도·광역시도’, 그 밖에 시장·도지사가 관리하는 ‘지방도’, 시장·군수·구청장이 관리하는 기타 군,시도 그리고 역시 시장·도지사가 관리하는 국가지원지방도(국지도)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크게는 ‘고속국도’, '일반 국도’그리고 광역 지자체장이 관리하는 '특별시도·광역시도’와 ‘지방도’ 그리고 '국가지원지방도’를 묶어서 ‘지방도’, 시장·군수·구청장이 관리하는 ‘시도·군도·구도’ 정도로 뭉뚱그려 나눌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 밖에도 차선 수나 넓이에 따라 나누기도 하고, 기능에 따라 ‘주도로’, ‘간선도로’, ‘집산도로’, 규모에 따라 ‘광로’, ‘대로’, ‘중로’, '소로’처럼 나누기도 하나 그 나눔이 그리 또렷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OSM의 계층적 분류에 따라 ‘고속국도’(고속도로)는 ‘highway=motorway’로, '일반 국도’는 ‘highway=primary’, '지방도’는 ‘highway=secondary’, 그 밖의 '시도·군도·구도’는 ‘highway=tertiary’로 나눌 수도 있을 것 같은데, 개념 상으로는 구분이 뚜렷하고 별 문제가 없으나, 일반 사람은 쉽게 알기 어려운 정보가 들어 있어, 이와 함께 좀더 알기 쉬운 기준과 함께 정리를 해 볼까 합니다.

먼저, 여러 분류 기준 가운데 가장 확실하고 ‘그나마’ 또렷한 기준은 '관리 주체’를 기준으로 한 분류겠으나 판단하기가 까다롭거나 어렵기 때문에,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작한 지도를 기본으로 하고 있는 국토부 '브이월드’나 상업지도 가운데 일부는 색깔로서 비교적 또렷하게 구분을 해 주고 있어 참고를 하기가 좋습니다.

수원 시청 근방을 보기를 들어 보겠습니다.(‘수원수원수원’ 님 고맙습니다. ^^)
위쪽 지도는 상업지도인 '다음지도’이고 아래 쪽은 국토부 지도인 '브이월드’입니다.(본디 지도의 색깔과 견줘 보시라고 선의 일부는 비워서 지도에서의 색깔이 보이도록 했습니다.)
이미지에서 붉은 선은 '경수대로’로 primary가 되겠습니다.(국토부 '브이월드’에서는 살구색, 다음지도에서는 진한 노란색 쯤입니다.)
여기서 주의하셔야 할 것은, ‘~대로’, ‘~로’, '~길’을 규모에 따라 나눈 것이므로 반드시 이 구분과 똑같지는 않습니다. 쉽게 얘기해서 primary 가운데 '~대로’가 많기는 하지만 가끔은 '~대로’가 secondary가 되고 '~로’가 primary인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길 이름 등급에 따라 판단하시면 안 됩니다.
파란 선(바탕 색깔 때문에 자주색처럼 보입니다만…)은 secondary가 되겠습니다.(국토부 '브이월드’에서는 연한 자주색, 다음지도에서는 연한 분홍색 쯤입니다.)
연두 선은 tertiary가 되겠습니다.(국토부 '브이월드’에서나 상업지도에서는 색깔은 없고 이름이 '~로’입니다.)
이미지에서는 연두색으로 표시했습니다만, 지도를 찾아 보시면 아시겠지만 색깔이 있고 없고 말고는 secondary와 tertiary의 차이를 느끼기 어렵습니다. 이건 아무래도 관리주체에 따른 분류 쪽을 따르는 것 같습니다.('브이월드’나 '다음지도’에서 '~로’이면서 고유 색깔이 있으면 secondary, '~로’이면서 아무 색깔이 없으면 tertiary)
그 다음, 색깔이 없으면서 '~길’은 residential이 되는 것입니다.(적어도 주요도로 분류 가운데서는 'residential’이 된다는 뜻이지, 모든 '~길’이 residential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비주요도로는 계층적 구분이 아니므로 이름이 '~길’이라고 해서 반드시 residential이 아닐 수도 있으며, 특히 시골 지역에는 비주요도로로 임도나 농사길에도 '~길’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굳이 계층적 분류에 얽매이지 말고 track으로 지정해도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시 한번 정리를 해 보겠습니다.(한국-남한-에만 해당됩니다.)

  • motorway : 고속국도(고속도로)
  • trunk : 고속화도로(도시고속도로 등)
  • primary : 일반 국도. 국토부 지도인 ‘브이월드’ 기준으로 연주홍선. 다음지도 기준으로 주황선.
  • secondary : (광역 지자체장이 관리하는 ‘특별시도·광역시도’와 ‘지방도’를 묶어서)지방도. 국토부 지도인 ‘브이월드’ 기준으로 연자주선. 다음지도 기준으로 연주황선.
  • tertiary : 시도·군도·구도. 국토부 '브이월드’에서나 상업지도에서 무색선 가운데 ‘~로’
  • unclassified : 한국에는 해당 없습니다.
  • residential : 주거지(주택밀집지역) 안길이면서 무색선 가운데 ‘~길’.(주택밀집지역 바깥이면서 '~길’이고 무색선인 경우는 그 성격에 맞게…)

:memo: 덧붙임.
한국에서의 길(highway=*) 분류에 대한 추가 논의에 좀더 자세하게 덧붙인 내용이 있으니 함께 보시기 바랍니다.

1 Like

일반 주거지(주택밀집지역) 안의 작은 길에는 residential을 붙이는데, '산업단지’나 주택단지가 아닌 특수단지 안의 작은 길에는 어떤 태그가 더 알맞을까요?

  1. OSM 위키 문서 일반에서는 어떻게 약속을 하고 있는지 찾지 못했습니다.
  2. 비록 주거를 위한 도로는 아니지만 그 급에 맞춰 residential로 보아야 할까요, 아니면 좀 특수한 상황이고 일반 주거지에 대한 접근 도로가 아니므로 service 같은 태그를 붙이는 게 좋을까요?

highway=unclassified is the best solution, from the OSM wiki itself

Edit Why did you decide to not use it in the first place?

2 Likes

I’ll add my thoughts in the comments of the other post.
Thank you.

1 Like

인용해 주신 대로 highway=unclassified는 unclassified된(분류를 알 수 없는) 도로에 사용하는 태그가 아닙니다(오히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에게는 헷갈릴 여지가 적겠네요).

실제 여러 사용례를 보면 1~3차 도로보다 급이 낮으면서도 그렇다고 residential이나 service, track 등으로 보기도 어려운 도로(상업지, 공업지 등)에 unclassified를 붙이고 있습니다.

2 Likes


항상 오픈스트리트맵의 일관성을 유지해 주시는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최근 지도를 보다가 모든 특별시도/광역시도가 highway=tertiary로 바뀌어 있는 것을 보고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특별시도/광역시도에 highway=tertiary 태그를 붙이게 되면 도(道)에서는 문제가 생기지 않지만, 서울 및 6대 광역시에서는 highway=secondary에 해당하는 도로가 사실상 없어져 버리다 보니 도로의 위계가 highway=primary(1차)에서 바로 highway=tertiary(3차)로 부자연스럽게 내려가는 것 같습니다.


특별/광역시도는 특별시/광역시에서 관리하고, 지방도는 도 및 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하는데, 특별시/광역시와 도는 행정 체계상으로 위계가 같습니다. 이런 위계를 고려했을 때 지방도와 마찬가지로 특별/광역시도에도 highway=secondary 태그를 붙이는 게 적합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3 Likes